전체 글36 박싱데이(BOXING DAY) 12월 26일 박싱데이는 무슨 날일까요? 박싱데이라는 말에서 박스는 크리스마스 박스(christmas box)와 관련이 있습니다. 박싱데이는 영국에서 시작되었는데 높은 사람들의 심부름을 하는 사람들은 크리스마스에도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일을 하다가 다음날이 되어야 집에 돌아가서 가족들과 만나게 되는데, 이때 귀족들이나 일을 시키던 사람들이 집에 가져가라고 크리스마스 선물 박스를 준다는 것이 기원이 되고 있습니다. 크리스마스 다음날인 12월 26일을 휴일로 정하여 성탄 연휴로 공휴일로 정하고 있습니다. 박싱데이 문화 박싱데이는 전통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선물과 기부를 하는 날인데, 현대에는 크리스마스 재고 등 연말에 재고를 털어내기 위해 소매상들이 물건 가격을 대폭 할인 판매해 소비자들이 쇼핑하기에 유리한 날로 인식되.. 2022. 12. 21. 2023년부터 유통기한 대신 소비기한 표시제 적용 유통기한에서 소비기한으로 변경 유통 기한은 음식이 만들어지고 나서 유통될 수 있는 기간을 뜻합니다. 식품의 신선도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유통 기한을 넘긴 식품은 부패되거나 변질되지 않았더라도 판매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반품이 됩니다. 유통기한 표시방식이 안전성 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할 수 있는 식품을 폐기하도록 한다는 지적이 일자 국회가 지난 2021년 7월 기존의 식품 유통기한 표시제를 소비기한 표시제로 2023년 1월 1일부터 변경하는 내용의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소비기한이란 소비자가 식품을 먹어도 건강상에 이상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소비자가 실제로 식품을 섭취할 수 있는 기한을 말합니다. 유통기한이 소비자에게 유통·판매가 허용되는 기간이라면, 소비.. 2022. 12. 19. 미래가치가 보이는 푸드테크 최근 떠오르는 산업인 푸드테크 산업의 의미와 향후 전망 및 관련된 기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푸드테크란 식품을 뜻하는 Food와 기술을 뜻하는 Technology의 합성어입니다. 기존 식품 산업과 4차 산업 기술이 만난 신산업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세계 식품 소비 유행이 건강과 환경 중시의 가치 소비 확산, 개인 맞춤형 소비, 비대면 소비 등으로 빠르게 전환하면서 고성장이 전망되는 미래 유망 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푸드테크 산업 내용 로봇을 활용하여 로봇이 음식을 만들고, 서빙하고, 배송까지 합니다. 미국에서 공개된 몰리 로보틱스의 주방 로봇은 직접 요리를 하는 건 물론, 요리가 끝난 뒤 주방 청소까지 합니다. 삼성전자에서 개발 중인 '삼성봇 핸디'는 가정용 서비스 로봇으로 테이블 차림 .. 2022. 12. 17. 슈링크플레이션 <경제용어 알아보고 꼼꼼한 소비하기> 슈링크플레이션 슈링크플레이션이란 말을 들어보셨나요? 사실 저는 슈링크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미용적인 단어를 먼저 떠올렸습니다. 얼굴 특정 부위의 지방을 없애기 위한 슈링크 시술이 있다는 것을 들어봤기 때문입니다. 이와 다르게 경제용어로써 등장한 슈링크플레이션이란 '모양이 줄어들다'라는 뜻의 shrink와 인플레이션이 합쳐진 신조어로, 가격은 그대로지만 제품의 크기나 양을 줄이는 독특한 현상을 뜻합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이 생겨난 이유는? 최근 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고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올렸는데도 물가는 못 잡고, 경기는 나빠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렇게 물가가 상승하고 소비가 감소하자 기업은 상품 가격은 유지하되 양이나 줄을 줄여 소비자 반발을 피하고, 이익을 유지하려는 현상이 일어난 .. 2022. 12. 17. 웰씽킹(WEALTHINKING) 켈리 최, 책 소개 및 내 생각 《웰씽킹(Wealthinking) 부를 창조하는 생각의 뿌리≫ 저자-켈리 최, 출판- 다산북스 이 책을 처음 알게 된 계기는 유튜브의 한 경제 채널 방송에서 책을 추천하여 알게 되었고 외국작가가 쓴 책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저자가 한국인이라는 점이 더 흥미롭게 느껴졌습니다. 최근 부에 대한 서적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이 책은 '부에 대해서 어떤 점을 강조할까'의 부분에 초점을 두고 책을 읽어나갔습니다. 이전에 소비 부자(Rich)와 자산 부자(Wealthy)에 대해 포스팅한 글이 있습니다. 간략하게 말하면 둘 다 부자들, 부유함의 뜻을 지니고 있지만 추구하는 점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rich는 소비의 관점에 집중한다면 wealthy는 더 큰 부를 이루기 위해 돈을 모으고 투자한다고 설명하였습니다.《웰씽킹.. 2022. 12. 16. 소비 부자(Rich) 자산 부자(Wealthy) 소비 부자와 자산 부자, 둘 다 부자인데 무엇이 다른 걸까요? 우리말로는 부자라는 단어 하나인데, 영어로는 Rich와 Wealth가 있습니다. 사실 Rich와 Wealthy를 사전적으로 찾아보아도 '부유한, 부자들'로 검색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소비 부자는 내가 가진 자산을 소비하고 자신의 돈을 과시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우리가 보통 부자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가 소비 부자입니다. 좋은 집, 멋진 옷, 맛있는 음식을 먹고자 하는 것은 사람의 자연스러운 욕구입니다. 그래서 돈 많은 부자가 돼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합니다. 외제차를 타고 명품가방, 명품시계 등을 착용하고 SNS에 일상을 올리며 부를 과시하니 이런 소비 부자는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와 반면 자산 부자는 우리 눈에 잘 보이.. 2022. 12. 15. 네옴시티 프로젝트 지난 11월 17일~18일에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이자 총리인 빈 살만 내한으로 국내가 떠들썩하였습니다. 빈 살만의 내한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네옴시티 프로젝트 네옴(NEOM)의 처음 세 글자 NEO는 '새로운'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접두사 Neo에서 따왔고, 마지막 글자인 M은 '미래'를 뜻하는 아랍어(Mustaqbal)의 첫 글자를 조합해 만들어졌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새로움을 추구한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네옴시티 프로젝트는 빈 살만 왕세자의 미래 비전 가운데 하나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국가 장기 프로젝트로 추진하는 거대 도시 건설 계획으로 석유에만 의존하는 사우디의 경제 구조를 다각화하기 위한 국가 신성장 정책인 '비전 2030' 추진 계획의.. 2022. 12. 14. 더 높은 금리를 향해 가자! 금리 노마드족 금리 노마드족 금리 노마드족이란 말을 들어보셨나요? 이에 대해 알아보고 고금리 상품에 가입 전 주의해야 될 사항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리+떠돌이 투자자 금리란 은행에서 빌린 돈이나, 반대로 은행에 맡긴 예금에 붙는 이자를 말합니다. 노마드(nomad)란 유목민처럼 자유롭게 이동하며 살아가는 사람. 또는 그런 무리를 뜻합니다. 그렇다면 금리 노마드족이라는 단어는 왜 생겨난 것일까요? 코로나19 사태로 소비가 줄자, 정부에서는 경제 살리기에 나섰습니다. 소비자들에게 지원금도 주고, 국민과 기업이 돈을 쉽게 빌리고 투자에 나서도록 금리를 낮췄습니다. 이렇게 시중에 돈이 늘어나자 소비와 투자가 늘었지만, 반대로 전체적인 물가가 계속 오르는 인플레이션도 발생되었습니다. 물가를 잡으려면 시장에 푼 돈을 다시 .. 2022. 12. 13. 이전 1 2 3 4 5 다음